2009년 5월 23일 토요일

57. 大山守命의 왕자의 난


역사는 영속적이고 독립적인 실체라고 생각하기 쉽다. 백제의 역사 또는 야마토의 역사가 따로 따로 독립하여 존재한다고 보는 식이다. 그러나 이 세상에 독립된 실체란 존재하지 않는다. 독립된 실체란 다만 우리의 사유속에만 존재할 뿐이다.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역사란 눈 위에 남겨진 발자국 같은 것이다. 피차 왕래가 많았다면 섞일 수 밖에 없다. 지배계층의 왕래가 많았다면 한 쪽만의 역사는 반쪽의 역사에 불과하다.

민족(Nation)이나 국가(State)라는 말은 19세기부터 쓰기 시작한 최근의 용어이며 고대 역사에 적용되는 말이 아니다. 우리가 거론하고 있는 이 시대에 야마토와 백제가 요즘 용어로 민족이나 국가로 얼킨 관계가 아니라 그냥 사람이 오고 갈 수 있는 땅이었다. 그 시대 토지는 어느 곳이고 지천으로 있었고 부족한 것은 인력이었다. 외부에서 이주 해 오는 사람들은 어느 곳이든 환영을 받았다. 부국강병의 알파와 오메가는 인구의 증가였다. 자연출산보다 인위적인 인구증가가 최상의 방법이었다. 전쟁을 통하여 적국의 백성을 강제로 뺏아가는 기사도 비일비재하다. 근초고왕과 應神천황 父子는 대대적으로 백제인을 야마토로 이주시켰다. 그후 광개토대왕의 남진으로 한반도의 피난민이 전란을 피하여 대규모로 일본으로 이주 하였다.

일본서기 應神 40년 (서기 374) 춘정월 천황은 오호야마모리노 미코토(大山守命), 오호사자키노 미코토(大鷦鷯尊)를 불러, “너희들도 자식 이쁜 줄 알게다”라고 말 하니 둘이 함께 대답했다. “예. 알고 있읍니다”. 그러자 천황은 “다 큰 자식과 어린 자식이 있으면 어느 쪽이 더 귀여우냐?” 하고 물었다. 大山守命는 “나이 많은 쪽입니다.”하고 답 하였다. 오호사자키 (훗날의 仁德천황)는 천황의 안색을 보고 그 마음 속을 헤아려, “다 큰 자식에게 불안이 있을 턱이 없지요. 그러나 어린 자식에게는 여러가지로 신경쓰게 되므로 애정도 더 깊을 것입니다.”라 하니, 천황이 매우 기뻐하며 “그 말이 맞다.”라고 하였다.

천황은 菟道稚郞子를 태자로 세우고 싶어서 나이 많은 아들들의 의향을 물어 본 것이다. 같은 달, 菟道稚郞子를 태자로 정하고, 大山守命에게 산천임야등 국토관리를 맡겼다. 大鷦鷯尊는 태자의 보좌역을 맡겼다. 서기 374년 부왕의 의중의 인물인 菟道稚郞子 11세, 大山守命가 28세 때였다.

삼국사기 침류왕 원년 (서기 384). 침류왕은 근구수왕의 맏아들이요 어머니는 아이(阿尔)부인이다. 아버지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가을 7월에 사신을 진 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9월에 호승 마라난타가 晉 나라에서 왔다. 왕이 그를 맞이하여 궁궐 안으로 모셔 예우하니 불교가 이로부터 시작되었다.

일본서기 神功64년 (서기384) 백제 貴須王이 죽었다. 왕자였던 토무루 왕(枕流王, 제 15대, 재위 384 – 385)이 즉위했다. 우리는 야마토의 菟道稚郞子가 백제의 토무루 왕 (枕流王)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삼국사기 침류왕 2년 (서기 385) 봄 2월에 한산(漢山)에 절을 세우고 열 사람이 승려가 되는 것을 허가하였다. 겨울 11월에 왕이 죽었다.

일본서기 神功 65년(서기 385) 백제의 토무루왕이 죽었다. 왕자인 阿花가 연소하여 숙부인 辰斯 (제16대, 재위 385 – 392)가 왕위를 빼앗아 즉위했다. (百濟枕流王薨 王子阿花年少叔父辰斯奪立爲王).

삼국사기 진사왕 원년 (서기 385) 진사왕(辰斯王)은 근구수왕의 둘째 아들이요 침류의 동생이다. 사람됨이 굳세고 용감하고 총명하고 어질었으며 지략이 많았다. 침류왕이 죽자 태자가 어렸기 때문에 숙부 진사가 왕위에 올랐다.

晉書 권9 효무제본기 太元11년 (서기386) 여름 4월조에 “百済王世子 余暉”이라 하여 백제왕의 이름이라 생각되는 인명이 나온다. 이 余暉을 세자란 표현때문에 阿莘王이라고 보는 설도 있으나, 年次의 면으로 보아 辰斯王에 비정하는 설이 많다. 삼국사기에는 이름을 ”暉”이라 하는 백제왕의 기술은 보이지 않는다.

삼국사기 백제 진사왕 기록을 보면 386년 15세 이상의 국민을 징발하여 국방용의 성을 쌓아 북방의 고구려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386년부터 고구려와 소규모의 전쟁이 있었고 일진일퇴의 공방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서기 392년 7월 고구려 왕 談德이 군사 4만명을 거느리고 북쪽 변경을 침공해 와서 석현성등 10여성을 함락시켰다. 왕은 담덕이 군사를 부리는데 능하다는 말을 듣고 나가 막지 못 하니 한수 북쪽의 여러 부락들이 함락되었다. 겨울 10월에 고구려가 관미성을 쳐서 함락시켰다. 왕이 구원에서 사냥하였는데 열흘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11월에 구원의 행궁에서 진사왕이 죽었다.

일본서기 응신 3년(서기 385) 백제에서 辰斯王(제 16대, 재위 385 – 392)이 즉위했다. 카시코키 쿠니(貴國)의 천황에게 禮를 잃었다. 그리하여 키노쯔노노 스쿠네(紀角宿禰), 하타노야시로노 스쿠네(羽田矢代宿禰), 이시카하노 스쿠네(石川宿禰), 쯔쿠노 스쿠네(木兎宿禰)를 파견하여 그 외교자세를 따지자 백제의 國人이 진사왕을 죽여 사죄하였다. 키노쯔노노 스쿠네(紀角宿禰)들은 阿花 (제 17대 아신왕, 재위 392 – 405)를 즉위시키고 귀환하였다.

應神천황의 아들 가운데 오호야마모리노 미코토(大山守命), 오호사자키노 미코토(大鷦鷯尊), 우지노 와키 이라쯔코 (菟道稚郞子), 와카누케 후타마타(稚野毛二派 또는 若沼毛二俣, 繼體天皇의 高祖父)의 4명은 여기서 언급해야 되는 인물들이다. 大山守命은 백제의 辰斯王, 大鷦鷯尊는 야마토의 仁德천황, 菟道稚郞子는 백제의 침류왕, 稚野毛二派는 백제의 아신왕(阿莘王)이기 때문이다.

광개토대왕비의 신묘년 서기 391년 “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XX)新羅以爲臣民”의 기사와 맞물리는 싯점이다. 삼국사기 는 광개토대왕의 南征을 392년으로 기록하였으나 광개토대왕비는 서기 391년으로 하여 1년의 차를 보인다.

서기 385년 백제의 침류왕 (菟道稚郞子)는 12살된 동생 阿莘王에게 백제를 맡기고 중국에 들어간다. 前秦황제 부견이 383년 11월 비수대전에서 패하여 대륙의 화북전역이 다시 권력의 재편성 단계에 들어간 시점이었다. 어린 동생 菟道稚郞子 에게 태자의 자리를 빼앗기고 절치부심하던 39세의 오호야마모리(大山守)가 쿠테타를 일으켜 阿莘王을 몰아내고 백제왕이 되니 그가 제 16대 진사왕이다. 이것이 제 1차 왕자의 난이다.

서기 392년 貴國의 천황에게 失禮하였다는 기사의 “貴國”은 貴須王(근구수왕)이 거주하고 있는 곳이라는 뜻이다. 광개토대왕과의 전쟁에서 패전한 책임을 물어 應神은 휘하의 장수 4명(모두 武內宿禰의 아들)을 백제에 보내 진사왕 大山守命을 야마토로 압송하고 실각되었던 阿莘王을 복위시킨다. 阿莘도 이제 나이 20이 되었다.

오호사자키(大鷦鷯) 는 應神천황의 네째 아들이다. 應神41년 춘2월 (394) 천황이 사망했다. 태자 菟道稚郞子는 황위를 大鷦鷯尊에게 양보하고 즉위하려고 하지 않았다. “ 아버지가 어린 저를 태자로 정한 것은 자질이 좋아서가 아니라 다만 어린 자식이 귀엽기 때문이었읍니다. 형님은 외모로 보나 자질로 보나 대왕에 걸 맞는 분입니다. 국가나 집안을 이끌어 가기에 저는 적합하지 않읍니다.” 大鷦鷯도 지지 않았다. “아버님은 하루라도 황위를 비워두면 안 된다고 하셨다. 그래서 너를 태자로 정하여 미리 국민에게 알린 것이다. 아버님의 뜻을 거역해서는 안 된다.” 두사람은 서로 사양하면서 황위에 오르지 않았다.

大山守命는 아버지 應神천황이 자기를 후계자로 하지 않은 데 불만을 품고 있었고, 또 오호사자키가 국정을 대행하고 있는 것도 불만이었다. 그리하여 “ 둘이서 서로 양보하며 아무도 황위에 오르지 않겠다면, 태자를 죽여버리고 내가 즉위하겠다”고 마음을 정 하였다. 오호사자키노 미코토(大鷦鷯尊)는 이러한 움직임을 탐지하고 태자에게 군사를 대비시키도록 당부하였다. 大山守命는 상대가 경계하고 있는 줄 모르고 수백인의 군사를 인솔하고 밤중에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이른 아침녘 우지(菟道, 京都府宇治市)에 도착하여 강을 건너려고 하였다. 우지강 건너 우지(菟道)마을에 菟道稚郞子가 살고 있었다

이 때 태자는 남루한 의복차림으로 노를 잡고 뱃사공들과 섞여 大山守命를 배에 태웠다. 그리고 배가 강의 가운데 쯤 왔을 때 배를 흔들어 전복시킨다. 大山守命와 태자는 강물에 빠져 떠 내려간다. 大山守命은 전투복 차림의 중무장, 태자는 간단한 평상복을 입고 있었다. 大山守命는 매복한 군사들이 강가로 나오는 것을 막았으므로 강에서 익사했다. 태자의 이 때의 심경은 기록으로 남아있다.

“솜씨 좋은 名人이여, 우지 나루에 서 있는 가래나무(梓)여, 박달나무(檀)여, 그것을 베어 활을 만들까 했는데, 그것을 취하여 활을 만들까 했는데, 뿌리를 보면 兄을 생각하고, 가지(枝)를 보면 누이가 생각나네, 가슴이 매이고 슬픔이 솟구치네, 베지 말고 돌아서자, 가래나무여, 박달나무여.”

서기 394년 應神천황이 사망하여 중국에서 전전하고 있던 菟道稚郞子가 부친상을 치르기 위하여 돌아 왔을 때 부친이 정 한 태자가 뒤를 이어야 된다고 오호사자키노 미코토(大鷦鷯尊)가 주장한다. 菟道稚郞子는 이를 거부하고 오호사자키를 민다. 백제 진사왕으로 부왕의 허락없이 즉위했다가 일본으로 압송된 바 있던 大山守命이 이 기회를 이용하여 서기 395년 다시 황위를 노리고 태자 菟道稚郞子를 살해하려고 군사행동에 나섰으나 사전에 대비한 太子에 의하여 우지강(宇治川)에서 익사한다. 우지강은 수량이 많고 물살이 빠르기로 유명한 강이다. 이것이 大山守命의 제2차 왕자의 난이다.

황위를 사양하고 태자는 우지(菟道)의 집에 틀어 박혔다. 그러나 오호사자키(大鷦鷯)도 버티기를 3년, 역사는 이 때를 공위(空位)의 3년이라고 기록했다. 서기 394년에서 397년까지이다. 태자는 “형의 마음이 변하지 않으면, 내가 살이있는 것이 천하를 어지럽히는 결과가 된다.”고 생각하여 自害를 시도하였다. 태자가 빈사의 중증이라고 들은 大鷦鷯尊는 나니와(難波)에서 우지(菟道)까지 단숨에 달려왔다. 태자가 의식을 잃은지 3일이 지났다. 大鷦鷯尊가 울면서 “나의 동생 태자여!”하고 세번 부르자 태자가 눈을 떴다. “너무나 슬픈 일이 벌어졌다…. 왜 자해를 해!…. 돌아가신 아버님께 뭐라고 하겠느냐?” 하였다. 태자는 “저희들 두 사람 너무 심했다고 봅니다. 돌아가신 아버님께는 형님이 몇번이고 사양했다고 말 하겠읍니다.”라고 대답하며 “제 누이 야타(八田)황녀가 걱정됩니다. 형님이 후비로 거두어 주시면 감사하겠읍니다.”하고 당부하며 숨이 멎었다.

오호사자키노 미코토(大鷦鷯尊)는 소복으로 갈아 입고 한동안 오열을 멈추지 못 하였다. 그리하여 태자를 우지산에 매장했다. 그런 다음 大鷦鷯尊가 천황으로 즉위하니 그가 仁德천황이다.

그럴듯하게 소설을 쓰고 있으나 菟道稚郞子는 중국대륙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었으므로 처음부터 그는 야마토라는 작은 나라에 안주할 생각이 없었다. 3년상이 지나면 중국에 돌아 가 그 곳에서 그의 꿈을 실현하고자 이미 작정하고 있었다. 여기서 菟道稚郞子가 죽었다고 하는 것은 이때 일본을 떠난 뒤 다시 일본에 돌아 온 역사기록은 없다는 선언이다. 그는 이때 일본에서 죽은 것이 아니고 부친의 3년상을 끝내고 서기 397년 중국으로 건너갔다. 東晉의 정치상황은 내일의 일을 알 수 없는 혼란된 상황으로 빠져 들고 있었고 광개토대왕의 말 발굽은 만주벌판을 종횡무진으로 주름잡고 있었다. 때는 바야흐로 호태왕의 시대였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