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5월 24일 토요일

8. 노량(鷺梁)과 노루목(獐項)


서기 1934년 신불출 작사, 문호월 작곡, 박부용의 노래로 노들강변이란 신민요가 발표되었다.

노돌강변 봄버들 휘늘어진 가지에다가
무정세월 한 허리를 칭칭 동여 매여나 볼가
에헤요 봄버들도 못 미드리로다
푸르른 저기 저 물만 흘러 흘러서 가노라.

여기 등장하는 노돌강변은 현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 부근의 한강변을 뜻한다. 노돌의 노()는 강변에 노니는 백로(白鷺)를 말하고(?) 돌은 돌양()으로 노량이 되었다. 원래는 노돌이었던 것을 노돌의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한 후세 사람들이 노들로 부르게 되어 노들강변이 되고 말았다고 한다.

서기 1598 12 16일 이순신 장군이 퇴각하던 일본의 함대를 무찌른 노량대첩의 전승지가 노량(露梁)이다. 남해도와 하동군 사이에 있는 좁은 바다이다. 이번에는 이슬로(), 돌양()이란 한자를 쓴다. 서울의 노량은 백로()를 뜻한다고 하였는데 노량대첩의 노량은 이슬로()를 쓴 것은 바다의 안개와 관련시킨 것이라(?)는 해설이다. 똑 같은 노량이 한 쪽은 백로요 한쪽은 이슬이라는 것은 노량의 가 확실히 해석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남군과 진도 사이에 흐르는 명량(鳴梁) 또한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의 전승지인데 진도군지(郡誌)는 이 곳을 노돌목으로도 불렀다고 한다. 노돌목이라면 노량으로 바꿀 수 있으니 제3의 노량이 출현한 셈이다. 그러면 노량이란 무슨 말일까?  

()이 들어간 대표적인 지명은 노량, 명량, 견내량, 칠천량, 착량(搾梁, 강화도 손돌목), 사량도 등이다. 모두 물을 건너 간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 경우의 양(梁)은 돌양으로 도랑에서 돌(똘)로 변한 것을 받아 양(梁)으로 표기한 것이다. 

노량의 가 무슨 말인지 알기 위하여 삼국사기 지리지를 뒤져 임진강에서 한강의 노량진과 비슷한 지정학적 조건을 갖는 곳을 찾으니 현재의 임진강 철교 부근에 고구려의 장항현(獐項縣)이 있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임강현(臨江縣, 경기도 장단군 강상면 임강리 일대)은 본래 고구려 장항현(獐項縣, 古斯也忽次라고도 한다) 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臨江縣 本高句麗獐項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獐項縣一云古斯也忽次). 장항현은 한자 표기이며 이를 고구려 말로 쿠시야코치(古斯也忽次)라고도 하였다.

코치(忽次)는 구(口)를 뜻하며 일본어에서 쿠찌(口)로, 한국에서는 곶(串)으로 정착된 말이다. 장항현에서는 목항(項)이 코치(忽次)에 해당한다. 그러면 노루를 뜻하는 고구려어가 “쿠시야”가 되며 현대어의 “노루”와 다르다.

동 지리지에 경기도의 안산시가 다시 쿠시야코치(古斯也忽次)로 나타난다. "장구군(獐口郡, 경기도 안산시 일대)은 본래 고구려 장항구현(獐項口縣) 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고려)의 안산현(安山縣)이다." (獐口郡 本高句麗獐項口縣 景德王改名 今安山縣 獐項縣一云古斯也忽次).

현재의 경기도 안산시는 바다를 대규모로 매립하여 고구려 시대와는 딴판인 모습이다. 바다를 매립하기 전 바다로 흘러드는 개울이 많고 해안선이 복잡하여 물을 건너 다닐 필요가 많은 지형이었으리라 생각된다. 안산시에 임진강을 건너는 곳에 붙여진 이름, 쿠시야코치가 있었다고 삼국사기 지리지는 기록하였다.

고구려가 멸망하고 시대가 흐르면서 고구려어의 쿠시야(古斯也)는 사라지고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노루”가 사용되었다. 그러면 장항현(임강현)은 노루목, 안산시의 장구군도 노루목으로 된다.

지금 우리 말 사전을 찾으면 노루목을 “노루가 다니는 길”이라고 풀고 있으나 이는 불충분한 해설이다. 전국의 지명 가운데 노루목이란 지명이 많이 존재한다. 노루목이라고 불리는 장소를 살펴보면 노루가 다니는 길과 상관없는 지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동의 하회마을과 같은 지형이 있으면 강을 따라 구부러진 길보다 돌출부 양측을 가로지르는 것이 편리한 상황이 있다. 그런 경우 반도를 가로 지르는 지름길이 생기게 되는데 이 지름길 노루목이라 불렀다. 이는 육지의 경우지만 물을 건너는 경우도 같다. 강을 건너거나 바다가 육지 깊숙히 들어 온 만(灣)을 건너갈 때 건너기 가장 편한 곳의 이름이 노루목이다. 물을 건너는 경우는 노루목에 도랑(돌)을
붙여 (노루목 + 도랑)이 되고 줄여서 노돌이 된 것이다. 노돌을 한자로 쓴 것이 노량이다. 강화도의 손돌목(窄梁)은 좁다는 뜻을 가진 솔다(窄)와 돌(도랑)이 합쳐져 착량(窄梁)이 되었다. 

 
노루목은 노루의 목에 해당하는 지형의 최단거리라는 의미이다. 노루목은 산행에도 많이 등장한다. 지리산에도 있고 설악산에도 있고 어느 곳이든 있을 수 있다.  등정하거나 하산할 때 가로질러 갈 수 있는 지름길이 시작되는 곳의 명칭이 노루목이다. 전국 곳곳의 강이나 내를 건너기 좋은 곳은 모두 노루목이라 할 수 있다.

이제 우리는 왜 제1, 제2, 제3의 노량이 존재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노량은 고유명사가 아니라 보통명사로서 물을 건너는 곳이면 어디나 붙일 수 있는 말이다. 노량의 우리말은 “노루목 + 도랑(돌)”이었다. 그것이 놀돌을 거쳐 노돌이 되었다. 백로나 이슬이 낄 틈이 없다.     




                                                - 끝 -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