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8일 일요일

68. 일본인-일본문화의 뿌리 (1)

금년 1월 17일부터 2월 27일까지 일본의 독쿄(獨協)의과대학교 독일어 문법교수, 테라카도 신(寺門 伸)교수가 쓴 “조선반도에서 일본을 바라본다 – 일본인.일본문화의 뿌리” (2)회에서 (5)회까지의 4회분이 연재되었다. 논문의 도입부에 해당하는 (1)회분의 존재에 대하여 문의 해 온 독자가 많아 선후가 바뀌었지만 이를 올린다.

****************************

내년(서기 2002년)은 일한공동 주최로 월드 컵 축구가 예정되어 있는 관계도 있어 일본과 한국간에 여러 레벨의 교류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또 최근은 한국식(韓國食) 붐으로, 일본인의 한국관은 호전되어 가고 있다고 느껴지나 일반의 일본인의 지식과 의식으로부터 생각할 때 한국은 변함없이 “가깝고도 먼 나라”인 것처럼 생각된다.

일한관계에 있어서 특징적인 것은 상대방의 나라에 관한 이해에 갭이 있다는 점이다. 많은 한국 사람들이 일본에 흥미를 갖고 의외로 일본에 대하여 많이 알고 있는데 반해 일본인은 한국을 너무 모르는 것 같다. 또 일본어를 할 수 있는 한국인의 수에 비해 한국어를 공부하거나 말 하는 일본인은 별로 없지 않을 까.

일본인이 자기의 아이덴티티를 탐구하여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일본인이란 무얼까?”를 생각할 때 옆의 나라인 한국(과 북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아는 것이 필요 불가결하다고 생각되므로 현재와 같은 상태는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 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교과서 문제나 야쓰쿠니 신사 (靖国神社) 참배문제로 한국과 중국으로 부터 일본의 역사인식을 문제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경우 역사인식이란 전쟁책임과 같은 의미라고 생각되나 제 2차 세계대전의 전쟁책임과 관련하여, 원래 일본이란 나라의 성립에 관하여, 우리들은 그릇된 관념을 심어오지 않았나라고 생각된다.

먼저 내가 왜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는지 그 실마리부터 말하자면 이렇다. 나의 전문분야는 독일어학(독어문법)이며 “언어의 구조”에 관심이 있다. 처음에는 영어나 불어, 라틴어, 그리스어등을 공부하다가 중국어와 한국어도 손 대게 되었다. 한국어 공부를 시작하고 “뭐야! 일본어와 똑 같지 않은가!” 하고 놀라고 말았다.

문장의 조립방식 (구문)과 단어 배열방식 (어순), 그리고 발상의 패턴이 일본어와 한국어는 동일하다. 예를 들면 “나는 내일 토오쿄오에 간다 .( 私-は-明日-東京-へ-行く)라는 문장이 있으면 “와타쿠시(私)”를 거기에 상당하는 한국어 “나”와 바꿔넣고 “와(は)는 “는”으로 버꿔넣는 식으로 축어역조(逐語訳調)로 마지막까지 한 단어 한 단어를 바꿔넣으면 그것만으로 훌륭한 한국어가 된다. “나-는-내일-토오쿄오-에-간다”.

놀랍게도 일본어의 조사, “와(は)” (“은” 또는 “는”)와 “가(が)” (“이” 또는 “가”)의 쓰임새가 다른 점도 똑 같이 한국어에 적용된다. 결국 “저 사람은 선생이다 ( あの人は先生です)”와 “저 사람이 선생이다 (あの人が先生です)”라는 문장은 영어나 독일어로는 이 차이를 표현할 수 없으나 한국어로는 정확히 표현된다. 그리하여 이 2개의 조사의 사용방식은 – 약간 다른 점도 있지만 – 기본적으로 일본어와 동일하다.

이 밖에도 “테러-와-의-전쟁(テロ・と・の・戦い)”이나 나고야-까지-는-신칸센-으로-갈수있다 (名古屋・まで・は・新幹線で行ける)” 의 “と・の”나 “まで・は”를 한국어에서도 2개의 조사를 겹쳐 표현하는 (“と・の”는 “와-의”, “まで・は”는 “까지-는”으로) 것이나, “해 보다 (やってみる)나 열어 두다 (開けておく)”의 “みる”와 “おく”는 한국어에서도 그대로 “보다 (=見る)와 두다 (=置く)라는 동사를 써서 표현하는 것, 또 체계적인 경어(敬語)가 존재하는 것등, 하여튼 이 2개의 언어의 문법의 골격은 쏙 빼 닮았다 해도 무리가 없다.

“이웃 나라에서 생각한 것 (隣の国で考えたこと)” 라는 책에서 저자인 오카자키 히사히코 (岡崎久彦, 1930 - ) 는 일본어와 한국어는 “기분 나쁠 정도 닮아 있다”, “이 닮은 방식이 그냥 지나칠 수 없을 정도이다”등의 감상을 말 하고 있으나 나도 한국어를 공부하면서 똑 같은 감상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일한의 역사가 시작될 무렵의 시대 양국의 밀접한 교류및 20세기전반의 병합시대의 영향을 받아 일한 양국간에는, 일본과 다른 나라 사이에 없는 많은 공통점이 있지만, 그것을 전부 배제하고 더욱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보아도, 그래도 기분 나쁠 정도로 닮은 점이 있다. (p. 104 – 105).

문법이 닮았다고 한 마디로 말 하지만, 이것은 대단한 의미를 갖는다. 일한양어의 친근성을 논할 때, “문법은 확실히 많이 닮아 있으나” 라고 한 마디로 자르고, “그러나 발음과 어휘는 닮은 점이 거의 없다”라는 말을 하게 되므로 그런 책을 읽어 온 사람들은 문법의 중요성을 인식할 짬도 없으나, 조금이라도 한국어를 공부한 사람은 누구나 이 닮은 방식이 예삿 일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나 자신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을 때 20년 이상 외국을 돌아 다니고 와서, 처음으로 외국어가 아닌 언어를 배우는 기분이 들었다. (p. 108)

이렇게 되면, 일본어와 한국어는 방언관계일까, 아니면 거기까지 가지 않더라도, 무언가의 유연관계(類緣關係)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나 자신은 양자간에 비교적 가까운 친족관계가 있다고 추정한다), 그것이 그리 간단히 말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언어학에서 2개의 언어사이에 친족관계가 성립한다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상호간의 기본언어간의 동일성, 유사성, 구체적으로는 음운의 대응 (=평행관계)이 있음을 밝혀야 하는데 이것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음운의 대응이란, 예를 들면, 영어의 “t”를 포함하는 단어가, 거기 대응하는 독일어의 단어에는 “s”로 되어 있다 (영어의 water /독일어의 wasser, better / besser 등) 는 등으로 복수의 기본단어에 관하여 특정의 자음들의 대응관계가 보인다는 따위이다. (독일어와 영어의 친족관계는 증명되었다).

신택스(syntax, 문장의 구조)면에서 보아, 일본어와 한국어간에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명백하지만 숫자나 친족명칭, 신체를 표현하는 명사등의 기본어휘가 두 언어에서 많이 다르다. 이것은 실로 불가사의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어의 계통 (日本語の系統) (岩波文庫)속에서 언어학자 핫토리 시로우 (服部四郎, 1908 – 1995) 氏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언어의 가장 확실한 비교연구는 어휘의 전반적 비교로부터 음운의 대응을 밝히고, 음운법칙을 귀납하여, 그에 기초하여 문법적 제 요소의 대응을 명백하게 하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 형태소(形態素)의 대응을 배후에 가진, 음운의 대응과 형태의 대응이 언어간의 친족관계의 결정적 증거가 된다. (p. 29)

현재까지의 여러 학자들의 연구결과, 일본어와 타 언어간의 친족관계는 유구어(琉球語)가 유일하며 그 이외의 어떤 언어도 친족관계가 증명된 것은 없다. (유구어가 일본어와 동계라는 것은 증명되었다). 그러나 일본어와 동계일 개연성이 가장 높은 것이 조선어 – 알타이 제 언어일 것이다”. (p. 34)

라고 하며, 다시 동서(同書)의 다른 부분에서, 언어연대학이라는 방법에 기초하여, 일본어와 한국어 (핫토리씨는 조선어라고 썼으나 같은 말이다) 2개 언어간의 거리를 검토한 다음 “일본어와 조선어가 같은 뿌리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그 분열연대는 지금부터 4000년 이내로는 볼 수 없다 (p. 364) 고 결론 짓는다.

2개의 언어간에 친족관계가 있다고 하는 것은, 그들 언어를 따라 올라가면, 드디어 공통의 조어(祖語)와 만난다고 보통 생각하므로, 그 두 언어가 언제 분화되었는가는 언어의 근친성을 재는 척도가 된다. 거기서 일본어와 한국어간에 친족관계가 있다고 가정하여, 언어연대학이라고 하는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두 개의 언어는 혹 공통의 한 언어에서 분기하였다 하더라도 그 분기점은 기원 전 2000년 이후는 될 수 없다. 결국 일본어와 한국어는 관계가 있다 하더라도 그 관계는 미미하다라는 결론이 나왔다라고 핫토리(服部) 씨는 말 한다.

이 결론은 우리들의 실감을 도저히 납득시키지 못 한다. 까마득한 4000년 전에 분기한 언어가 어떻게 이 정도로 닮아 있는가. 이것은 기본단어의 동일성, 유사성만을 언어비교의 기준으로 보는 현재의 비교언어학의 방법은 완전하지 않고 결함이 있으며, 인도 – 유러피안 제 언어이외의 언어에는 별도의 기준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되는 케이스도 존재함을 증거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

우리는 지금까지 백제와 일본열도가 같은 나라였다고 보아 왔다. 데라카도 신 교수의 윗 글과 관련하여 우리는 당연히 당시 사람들이 언어문제를 어떻게 소화 해 갔을지 생각 해 보지 않을 수 없다. 백제인들이 열도에 들어 갔을 때 현지인들이 원시적인 언어를 가지고 있었다고 보아야 한다. 백제인들은 현지인의 언어를 백제어와 함께 사용하므로서 의사소통의 질을 높여 나갔을 것이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한 단어 한 단어를 뜯어 놓고 보면 완전히 다른 언어인 것 처럼 보인다. 사람의 신체의 명칭이나 인간의 삶 속에 필요한 가장 원초적인 단어들이 공통점이 없다. 예를 들면, 눈, 코, 입, 얼굴, 손, 발, 밥, 물, 불, 집, 강, 산 따위의 기본어휘들이 어떤 공통점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문장의 어순은 동일하다. 백제인은 현지인의 단어를 빌어 백제어의 문장을 만들어 현지인과 대화의 장을 열었을 것이다.

댓글 없음: